본문 바로가기
붓가는대로

태종무열왕릉(太宗武烈王陵 ) 황토빛 대지 바라보며 ...

by 감홍시 2009. 12. 2.

 

 

 

 

 

 

 

 

태종무열왕 : 신라 제29대 왕(654~661 재위).

 

 

성 김(). 휘 춘추().  진지왕의 손자. 이찬(飡) 용춘(:)의 아들. 어머니는 진평왕의 딸 천명부인() 김씨().

무열왕()이라고도 한다.

642년(선덕여왕 11) 백제의 침입으로 대양성()이 함락되고 사위인 성주() 품석()이 죽음을 당하자,

고구려와 힘을 합하여 백제를 치고자 연개소문()을 만났으나, 국경의 영토문제로 감금당했다가 돌아왔다.

웅변에 능하고 외교적 수완이 뛰어나서 사신으로 일본과 당()나라에 다녀왔으며,

특히 당나라에는 여러 차례 왕래하면서 외교적 성과를 거두고 군사원조까지 약속받아 삼국통일의 토대를 닦았다.

654년 진덕여왕이 죽자 진골()의 신분으로 군신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함으로써 신라 최초의 진골출신 왕이 되었다.

즉위 후 이방부령() 양수()에게 명하여 율령()을 상정()하게 하고 이방부격() 60여 조를 제정하여 왕권을 강화하였으며,

당나라와  친교를 맺어 깊은 신뢰를 얻고 개부의동삼사() ·신라왕()에 책봉되었다.

660년(무열왕 7) 당나라에 청원하여 당나라가 백제 정벌의 대군을 파견하자,

왕자 법민(:)과 김유신 등에게 5만의 군사를 주어 당나라 군사와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이듬해 백제 부흥군을 격파하고, 이어 고구려 정벌의 군사를 일으키다가 죽었다.

그의 재위기간에 신라 왕권의 전제화()가 확립되었고,

또한 크게 성장한 귀족세력을 중심으로 당나라의 율령제도()를 모방한 관료체계가 정비되었으며,

구서당()이라는 9개 군단()의 설치로 군사조직이 강화되는 등 본격적인 국가체제가 확립되었다.

또, 김유신의 매부()가 됨으로써 경주김씨 왕실과 김해김ㅆ와의 결합이 이루어졌고,

그의 직계자손으로 8대가 계속됨으로써 120년 동안 정치의 황금기를 맞게 되었다.

 

 

 

 

 

 

 

 

 

 

 

 

 

 

 

 

따듯한 겨울비 내리고

낮은 하늘의 하루가 지나고 나니

어느듯 하늘 푸름에

차가움의 맑음으로 불어오고...

 

일상의 일들 정리하며

집으로 오는 길

태종무열왕릉으로

동선을 그려 본다...

 

 

 

 

 

 

 

 

 

 

 

 

 

 

 

 

 

 

 

 

 

 

 

 

 

 

 

 

파란 초록의 잔디

어느듯 겨울 황토의 색감으로 바뀌고

 

무구한 세월의 한페이지처럼

또 한해의 황토빛 채색으로

세월의 한장 넘어가니...

 

 

 

 

 

 

 

 

 

열두개의 한해

어느듯 열하나 채워져

하나가 남았으니...

 

또 다시 시작하는

열두개엔

초록의 옷으로부터

열두개를 채워가겠지...

 

 

 

 

 

댓글